이사를 가면 꼭 해야 할 것 중 하나가 바로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입니다. 전에 거주하던 곳으로 왔던 우편을 새로 이사한 집에서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중요한 개인정보가 담긴 우편들도 있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를 꼭 신청하셔서 유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란?
말 그대로 우편물의 주소를 이전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사를 갔을 때 내가 받게 될 우편물들의 모든 주소를 새로운 집으로 일일이 변경하는 것은 번거롭고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우편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주민센터/정부24와 우체국에서 실시하고 있는데 해당 서비스의 이름이 약간 다릅니다.
- 주민센터/정부24 - 우편물 전입지 전송 서비스
- 우체국 -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 서비스
2. 서비스 이용 금액
해당 서비스는 무료로도 이용할 수 있지만 유료인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기간에 따라 추가로 신청도 가능한데 이 역시 유료로 진행됩니다.
구분 | 개인 (1인당) | |
3개월 이내 | 3개월 연장 | |
동일 권역 | 무료 | 4,000원 |
타 권역 | 7,000원 | 7,000원 |
권역에 따라 금액이 다른데 권역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처럼 지역별로 권역이 나뉘어 있고, 같은 권역에서 받는 우편은 3개월 동안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①수도권역(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 ⑥전남권역(전라남도, 광주광역시) |
②강원권역(강원도) | ⑦경북권역(경상북도, 대구광역시) |
③충북권역(충청북도) | ⑧경남권역(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
④충남권역(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 ⑨제주권역(제주특별자치도) |
⑤전북권역(전라북도) |
무료 서비스는 주민센터나 정부24에서 전입신고를 할 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 서비스 역시 이 때에 신청할 수 있는데 유료의 경우는 우체국/인터넷 우체국에서만 결제가 가능합니다.
3. 신청 방법
신청은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방법 2가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전입신고를 할 때 신청하지 못했어도 추후에 가능하니 3)번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무료 서비스만 이용할 경우
무료 서비스는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전입신고를 할 때 진행하시거나 전입신고 후에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요건에 맞지 않다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정부24에서 전입신고 진행을 한 이력이 있어야 하며, 그 기간이 30일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그렇기에 이사하고 전입신고를 신청 후 같이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을 위해서는 홈페이지에 접속 후 검색창에 '우편물 주거이전 서비스'라고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은 검색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장 상단에 있는 '우편물 주거이전 서비스 신청' 메뉴에서 신고를 누르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 정부24 우편물 주거이전 서비스 신청 : 링크
정부24 홈페이지의 경우 비회원으로도 민원 서비스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회원으로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자주 이용하시는 편이라면 회원가입을 해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정부24의 경우 평소에도 사용할 일이 은근히 많습니다.
2)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무료 서비스를 3개월 연장하여 받고 싶거나 다른 권역의 우편물을 받고 싶다면,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이때에 정부24에서 전입신고 때 신청해야 합니다. 그 후 우체국 / 인터넷우체국에서 서비스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유료 서비스를 신청하면 2~3일 이내에 안내 문자를 받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문자를 받은 후에는 우체국 홈페이지에 접속 후 우편 - 부가 서비스 - 주거이전 서비스 신청/결제/취소 메뉴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 우체국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 서비스 : 링크
해당 페이지에서 아래로 내려보면 유료 서비스 결제 / 취소 페이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결제를 누르고 신청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비회원으로도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신청할 때 접수번호를 입력하는 란이 있습니다. 이는 안내 문자에 N이나 6으로 시작하는 14자리 번호를 의미하며 이것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만약 오늘 전입신고를 신청했다면 우체국 전산에는 다음날 등록이 되기 때문에 전입신고와 유료 서비스 결제를 같은 날 진행할 수 없고 안내 문자를 받은 후에 접수가 가능합니다.
3) 전입신고 때 우편물 서비스 신청 못한 경우
만약 이미 전입신고를 해버렸고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을 못했다면 아래의 방법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를 했다면 신청하지 않아도 직원이 포함해서 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중복이 되기 때문에 먼저 무료 서비스가 신청됐는지 조회 후에 진행하시면 됩니다.
직접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전입신고를 했고 우편물 서비스를 신청 안 하셨다면 개별 신청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그전에 무료 서비스 신청을 했는데 인지하지 못한 경우도 있으니 조회를 해보거나 수수료 결제 문자를 받은 게 있는지 꼭 확인한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신청을 누르면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 하단에 비회원 신청도 있으니 굳이 회원가입을 하지 않고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 방법에 관하여 살펴봤습니다. 번거롭지 않기 위해서는 전입신고를 할 때 같이 신청하시는 것이 편리합니다. 만약 하지 못했더라도 추후에 신청하는 방법도 있으니 차근차근 따라 하시면 쉽게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댓글